분류 전체보기

그릇은 국그릇 1개 밥그릇 1개 이면 된다고 생각하는 편이라서 도자기로 그릇은 거의 안 만들었는데 살다 보니 파스타그릇도 필요하게 되고 비빔밥 대접도 필요하게 되고 해서 파스타 겸 볶음밥 접시를 만들어 보았다. 공방에 있는 석고 틀 중에 타원형 석고틀이 생각하던 크기랑 맞을 거 같아 선택했다. 1. 흙을 길쭉하게 밀어 준다. 2. 석고틀에 밀어 놓은 흙을 얹고 겉면을 정리해 준다. 3. 원형에 맞추어 굽을 달아 준다. 4. 살짝 마른 후 탈영해 준후 손잡이를 달아준다. 5. 그릇 내부를 정리해 준 후 화장토를 발라 마무리해 준다. 손바닥이 들어가고도 남을 정도 크기이다. 살짝 큰 듯 하지만 집에서 만드는 스파게티 양 생각하면 큰 것도 아닌 거 같다. 그냥 만들면 너무 심심해 보여서 앙증맞은 손잡이 2개 ..
도예
사각형 모양 대접을 만들어 보았다. 공방에 틀이 있어 틀에 맞춰 만들었다. 만드는 순서는 1. 흙을 일정한 두께로 밀어준다. 2. 밀어놓은 흙을 사각틀에 덮어주고 굽을 달아준다. 3. 살짝 마른 뒤에 손잡이를 달아준다. 4. 화장토를 발라 준다. 국물이나 음식을 담을 예정이라 그릇 안쪽 음식이 보이는 부분에 화장토를 발라 주었고 손잡이 부분도 화장토를 발라 주었다. 한 번에 2개를 만들어야 크기가 비슷하게 나와서 시간 안에 2개를 만드느라 정신없이 작업했다. 이번그릇은 좀 두껍게 만들었다. 살짝 투박해 보이지만 그만큼 튼튼해 보인다. 사각 대접 안쪽은 완성 후 사용 할 때 좀 더 하옛으면 해서 화장토를 진하게 발랐는데 생각보다 허옇게 안 나왔고 실력이 부족해 화장토를 꼼꼼히 잘 바르지 않아 얼룩덜룩하니 ..
도예
차를 마실 때 사용하는 도구들은 물이 묻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사용하는 중에 도구나 뚜껑 등을 바닥에 놓기 불편해서 잠깐 올려놓을 수 있도록 다용도로 사용할 받침대를 만들어 보았다. 내 맘 데로 적당히 흙을 얇게 민 다음 끝부분을 살짝 말아주고 화장토를 발라 주었다. 화장토가 마른 후 연잎무늬를 넣어 주었다. 얇게 만들었는데 신경 써서 구워주셔서 휘지 않게 잘 만들어졌다. 주전자에 뜨거운 물을 보급할 때 잠깐 뚜껑을 올려 두거나 차 거름망에 끼인 찻잎을 빼낼 때 사용하는 숟가락을 거치하기도 좋다. 두 가지 다 올려놓아도 넓이가 충분하다. 흙 한덩이 뚝 떼어서 대충 크기 잡은 뒤 쓱쓱 만들었는데 생각보다 느낌 있게 만들어졌다. 많은 힘 들이지 않고 쉽게 만들 수 있는 게 좋은 거 같다.
도예
나무 플레이팅 도마는 사용할 때는 가볍고 모양도 예뻐 플레이팅 하기도 좋다. 그런데 자주 사용하다 보면 칼에 의해 흠집도 나고 사용 후 물로 씻게 되면 오일도 날아가고 이만저만 아껴서 써야 하는 게 아니다. 공방에서 다른 분이 만든 도자기 도마를 참고해서 하나 만들어 보았다. 1. 흙을 원하는 두께로 밀어준다. 2. 만들고 싶은 플레이팅도마 모양으로 모양을 내어 잘라준다. 3. 흙이 마르기 전에 도마 위에 마음에 드는 모양으로 무늬를 찍어준다. 4. 흙을 조금 말린 후 화장토를 말리면서 여러 번 두껍게 발라준다. 5. 화장토를 완전히 말린 후 화장토 부분 튀어나온 부분을 도구를 사용하여 긁어준다. 화장토를 다 긁어낸 모습이다. 쉽게 긁어질 줄 알았는데 2시간이나 걸렸다.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두께를 두..
도예
자주 해 먹는 계란프라이를 하려면 여간 번거로운 게 아니었다. 가스레인지 옆에 계란 갖다 놓으면 계란이 자꾸 굴러다니고 계란 깨고 나면 껍질 버리러 갔다 와 야하고 뒤집개 사용하면 그것도 따로 놓아야 하고 엄청 번접스러워서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계란 거치대를 만들었다. 기존에 판매하는 계란 거치대는 계란 놓는 곳만 있어서 껍질을 깨고 나면 껍질 버릴 접시를 따로 사용하게 되는데 그거 없이 일체형 원스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뒷부분도 굽을 달아 바닥에 모든면이 닿지 않도록 했다. 계란거치대 자체가 좀 두꺼운 편이라서 마르기를 기다렸다 굽을 달게 되어 시간은 더 걸렸지만 역시 굽을 다니 완성도가 올라간 느낌이다. 계란을 거치하는 부분은 두껍게 해주었고 안쪽을 동그랗게 계란모양으로 파주었다. 처..
도예
스머지스틱을 구매했는데 태울 수 있는 거치대가 없어 이래저래 사용하지 않다가 이번에 도자기로 만들어 보게 되었다. 다른 재질에 비해 세라믹 재질이라 불을 사용하여 태우거나 초를 사용할 때는 유용한 것 같다. 끝쪽에 별을 넣어서 스머지스틱을 받쳐 줄 수 있도록 만들었다. 뒷 바닥은 다리를 달아 주었다. 완성된 모습이다. 별이랑 벽 부분에 붙은 나무를 너무 살살 붙여 떨어질까 염려 됐었는데 안 떨어지고 잘 붙어서 구워져 나왔다. 도자기 색깔도 곱고 나뭇가지 부분은 살짝 거뭇거뭇 나온 것도 느낌 있다. 뒷부분에 달았던 다리 중 한 개가 마르면서 떨어진 듯하다. 그래서 결국 삼발이....떨어진 거 알았음 붙였을 텐데 아마 공방에서 마르면서 나중에 떨어진 듯하다. 옆에서 보면 살짝 왼쪽 밑으로 기울어진 게 보인다..
도예
요리할 때 국자나 젓가락을 사용하고 가스레인지 옆에 접시를 하나 두고 조리를 했었다. 매번 접시를 놓기도 거추장스럽고 해서 국자거치대를 만들었다. 국자 크기에 맞추어 원형을 만들고 흙을 밀어 모양을 잡은 뒤 세로로 세워서 붙여 주었다. 높이가 많이 높지 않아 마르지 않았어도 쓰러짐 없이 잘 붙었다. 국자를 살짝 감싸지게 바디를 만들어 주었고 국자 끝부분이 걸리도록 살짝 턱을 만들어 주었다. 국자받침이 깔끔하게 구워져 나왔다. 내가 생각 한 것보다 작게 만들어져서 조금 아쉬웠다. 역시 크기 맞추는 게 힘들다. 집에서 사용하는 국자 중 맞는 국자는 이거 하나 였다. 도자기가 살짝 가벼워서 쓰러지면 어쩌나 했는데 그나마 다행으로 쓰러지지는 않았다. 국자는 받쳐지지 않지만 깔끔이 주걱이나 티스푼은 잘 받쳐진다...
도예
여름이 되면 살이 접히는 부분에 땀이 맺혀 두드러기가 자주 일어나는 편이라서 애기들이 사용하는 바디파우더를 구매했는데 덜어 쓰기가 너무 불편하여 소품보관함 스타일로 파우더보관함을 만들었다. 같이 배우시는 분이 이런 식으로 소품보관함을 만들었었는데 다른 도자기 만든 것보다 제일 자주 잘 사용한다고 하셨었다. 파우더통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나도 자잘한 소품이나 반지 귀걸이 같은 제품 보관하면 될 거 같았다. 우선은 파우더 보관함으로 사용! 월래 뚜껑 부분 손잡이만 화장토를 바르려고 했었는데 손잡이 부분 바르다가 뚜껑 윗부분까지 번져버려서 결국 뚜껑 전체를 화장토로 마무리하였다. 화장토 바르다가 너무 두껍게 된 곳은 깨져나가고 갈라져 버려 조금 맘에 들지 않게 제작되었다. 뚜껑 부분은 살짝 안쪽으로 거치되도..
도예